반응형

국가 책임 3

공공운수노조, 2025년 사업계획 확정… “사회공공성 강화, 노동기본권 보장 투쟁”

서울 강서구민회관에서 열린 정기대의원대회에서 2025년 사업계획 확정… 엄길용 위원장, “새 정부 출범 첫해, 난세 풀어낼 쾌도난마의 첫발 될 것”​2024년 사업평가 및 결산, 회계감사 보충선거, 중앙조합비 제도 개선 등 안건 처리… 결의문 낭독으로 마무리​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이하 공공운수노조)는 26일 서울 강서구민회관에서 정기대의원대회를 열고 2024년 사업평가를 진행했다. ​이와 함께 “”이라는 슬로건 아래 시기별 사업계획으로 구성된 2025년 사업계획을 확정했다.​이날 대회에서는 회계감사 보충선거, 중앙조합비 제도 개선, 결의문 확정 등 모든 안건이 활발한 토론 속에서 결정됐다.엄길용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지금 우리의 현실은 대의원회가 진행 중인 이 순간에도 대한민국은 요동치고 있다”며..

사회 2025.02.26

세월호·이태원 참사로 본 국가책임… 실질적 개선책 모색

22일 서울 종로구 별들의 집에서 열린 토론회 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토론회는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를 중심으로 재난 상황에서 국가의 책임을 재조명하며 실질적 개선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사)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10.29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4.16연대, 시민대책회의 등 다수의 단체가 공동으로 참여했다.​토론회는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김종기 운영위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됐다. 그는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발언과 제주항공 참사를 언급하며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본연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10.29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이정민 운영위원장은 “법적 강제 없이는 국가의 책임을 묻기 어려운 현실이 반복되고 있다”며 과거 ..

사회 2025.01.24

미군 위안부 생존자의 절규: 동두천 성병관리소 철거 논란

기억을 지킬 것인가, 지울 것인가: 동두천 성병관리소, 여성인권평화박물관으로 남겨야 할 이유​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를 둘러싼 논란이 국제 인권 기준과 피해자 권리 보호의 관점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동두천옛성병관리소철거저지를위한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와 국제인권네트워크는 1월 21일 오후 2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두천시의 철거 계획이 부당하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기자회견에서는 성병관리소의 철거가 미군 위안부 생존 피해 여성들의 인권과 기억을 지우는 행위라며, 국제인권기준 및 국내 사법부의 판결에 비추어 국가와 지자체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제기됐다.​“낙검자 수용소는 감옥이었다” - 생존자의 증언과 철거 반대의 배경​생존 피해 여성들은 성병관리소가 사실상 감금과 ..

사회 2025.01.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