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매출액 1, 2순위 화장품 기업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에서 생식독성 물질인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이 포함된 제품이 판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단체는 해당 제품에 대한 생산 중지 및 판매 전량 회수를요구하고 나섰다.
최근 EU, 오만, 영국 등에서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 성분이 포함된 모든 화장품의 판매를 금지하는 조치를 취한 가운데, 소비자안전과학위원회(SCCS)는 이 성분의 안전성에 대해 경고했다. SCCS는 이 성분이 적정량으로 사용할 때는 괜찮지만, 여러 제품에서 농도가 짙어질 경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은 2019년 CMR(발암성·변이원성·생식독성) 분류로 변경되었고, 이후 여러 국가에서 해당 성분이 포함된 화장품의 판매를 중단하는 조치를 취했다. 미국은 공식적인 제재를 하지 않지만, 비영리 환경 연구단체 EWG는 이 성분이 생식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국내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이 포함된 화장품이 여전히 판매되고 있으며,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성분이 포함된 제품에 대해 사용 중지 권고를 내린 바 있다. 특히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의 제품에서도 이 성분이 발견되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7일 성명을 통해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이 포함된 화장품의 전량 회수 및 생산 중지를 촉구하며, 화장품 기업들은 이 성분을 제외하고 제품을 재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이미 해당 성분을 배제한 제품을 출시한 사례를 들며, 다른 기업들도 자율적으로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K-뷰티의 위상이 높아지는 가운데, 소비자 안전과 건강을 해치는 성분을 선제적으로 배제하는 조치가 절실하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 성분을 사용한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중지하고, 이미 판매된 제품을 전량 회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LG생활건강·아모레퍼시픽 유해 성분 화장품 판매 논란... "소비자 안전 위협"
2023년 매출액 1, 2순위 화장품 기업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에서 생식독성 물질인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이 포함된 제품에 대한 생산 중지 및 판매 전량 회수가 요구되고 있다. 유해 성
newsfield.net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개 단체 연대, 여성파업 조직위 출범...성별임금격차 해소·돌봄 공공성 강화 외쳐 (1) | 2024.11.07 |
---|---|
아시아나항공, 여성 노동자의 휴가권 침해...사직 강요 논란 (2) | 2024.11.07 |
공무원 연가 제도 허점 드러나...집배원 과로 실태 심각 (0) | 2024.11.06 |
경실련 "대통령은 공천개입 의혹 사과하라" (3) | 2024.11.06 |
대기업 임직원에 주식 쏟아붓다… 현대차, 주식기준보상 1위 (6)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