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농협은행 3

농협은행 자산건전성 악화 근본 원인: 대출 심사 문제 및 구조적 취약점

최근 5년간 국내 5대 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의 자산건전성 지표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이 발표됐다.​10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8년 4분기 이후 매년 동기 기준으로 자산건전성 지표를 살펴본 결과, 2018년 이후 국내 5대 은행의 총여신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고정이하여신과 무수익여신 규모는 감소했다. ​그러나 2022년부터 총 연체율이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고, 2023년에는 신한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은행들의 고정이하여신과 무수익여신 규모도 증가해 자산건전성에 위험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특히 농협은행은 반복적인 문제를 드러내며 자산건전성 관리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농협은행의 총여신 규모는 5대 은행 중 ..

사회·경제 2024.07.10

6대 시중은행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 금액 KEB하나은행 최저

이승열 하나은행장 IMF외환위기 이후 부실금융기관을 살리기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은 현재 총 168조7천억원이며 이중 절반 가량인 86조9천억원이 시중은행에 지원됐다. 결국 국민의 혈세인 공적자금을 통해 시중은행이 회생됐으므로 시중은행은 사회적으로 공공성을 띠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 시중은행은 손쉬운 예대마진을 통해 수조원의 이자수익을 얻고 있으며 전체수익의 80%가 이자부문에서 창출되고 있다.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약칭 소비자주권)는 최근 5년간 시중은행의 사회공헌 및 사회책임금융 지출 등 사회공헌 실태를 조사하여 시중은행이 사회적 역할을 어느 정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결과를 8일 발표했다. ​ 전국은행연합회가 매년 발간하는 은행사회공헌활동보고서와 금융..

사회·경제 2023.09.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