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가 상승 2

윤 대통령, 약자 지지 약속은? 시민단체 "기준중위소득 인상 없이는 살아남기 힘들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오는 25일 내년도 기준중위소득을 결정할 계획인 가운데,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23일 성명을 발표하며, 정부가 저소득층의 어려움을 외면하고 최저 생활비 기준조차 충족하지 못하는 낮은 기준중위소득 인상률을 고집하는 것은 국민 삶을 몰살하는 행위라고 규탄했다. 위원회는 기획재정부가 올해도 세수 부족을 이유로 2%대의 인상안을 제시했다고 전하며, 물가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의 현실을 반영한 기준중위소득 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정부는 기준중위소득의 인상률을 6.09%로 발표하며 역대 최대라고 홍보했으나, 실제로는 필요 인상분의 80%만 반영된 수치였다. 기준중위소득은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발표하는 가구소득 중앙값보다 낮고, 이 격차가 줄..

사회·경제 2024.07.24

하나카드, 소비자 금리인하 요구 철저히 무시…업계 최저 수준 수용률 및 인하 금리

한국은행이 지속적인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해 기준금리를 2021년부터 2023년 1월까지 0.75%에서 3.50%로 여러 차례 인상한 가운데, 고금리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가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신용대출을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높은 금리에 대한 부담이 크게 증가했으며, 금융소비자들은 금리인하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별로 이에 대한 수용률이 크게 다르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3일 (이하 소비자주권)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하나카드는 가계 신용대출 금리인하요구권에 대한 수용률과 인하 금리 면에서 업계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말 기준 하나카드의 금리인하요구권 신청건수는 20,739건에 달했으나, ..

사회·경제 2024.04.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