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달플랫폼 2

소비자단체, 배달플랫폼 구독서비스 전환 "이중가격 도입 소비자에게 더 큰 부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배달플랫폼의 구독서비스 전환과 무료 배달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누구를 위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협의회는 이러한 변화가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며, 배달플랫폼 업체들이 수수료 인하를 통해 외식 물가 안정화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이중가격을 도입함에 따라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는 배달비 구독서비스 전환이 소비자에게 긍정적이지 않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배달플랫폼 업체들은 소비자에게 건별로 배달비를 부과하던 체계에서 유료 구독서비스로 전환하며 소비자의 배달비 부담을 경감하고 배달서비스 시장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사회·경제 2024.09.26

"불공정한 배달 생태계" 라이더와 상점주가 뭉쳤다

배달라이더, 상점주, 시민사회가 함께한 집회가 열렸다. 22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지부와 상점주, 시민사회단체들이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정부의 배달플랫폼 자율규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배달의 민족을 비롯한 배달플랫폼의 불공정 행위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라이더 유니온과 상점주, 시민사회가 배달 생태계의 주요 이해관계자로서 연대하게 된 것이다. 라이더유니온지부는 “라이더들은 정부의 자율규제로 인해 자신뿐만 아니라 시민의 안전까지 위협받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실제로 배달의 민족과 쿠팡은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라이더들에게 근무를 시키고 있으며, 보험가입 의무 규제가 적용되지 않고 있다. 지난 7월 국토교통부는 배달의 민족과 쿠팡에 9월부터 배달용 보험 확인 절차를 마련할 것을 권고..

사회·경제 2024.08.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