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폐쇄 5

석탄발전소 폐쇄 앞둔 노동자들 "우리 삶은 멈출 수 없다"… 총고용 보장 요구

올해 12월 태안화력발전소 1호기 폐쇄를 시작으로 석탄화력발전소 연쇄 폐쇄가 예정된 가운데, 발전 노동자들이 고용 보장과 공공재생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을 촉구하며 투쟁을 선포했다. ​19일 오후 2시, 세종시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열린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발전노동자 총고용 보장! 산자부가 책임져라! 2025 투쟁선포 발전노동자 현장간부 결의대회'에는 200여 명의 발전 노동자들이 참여해 결의를 다졌다.​대회는 2018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산재 사고로 숨진 김용균 노동자를 추모하는 민중의례로 시작되었다. 참가자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며 고인의 넋을 기리고,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고용 불안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강성규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판하며..

사회·경제 2025.03.19

태안화력 1호기 폐쇄 앞둔 발전소 노동자들, 생존권 사수 결의

1월 16일, 발전소 비정규직 5개 사업장(금화PSC지부, 일진파워노조, 발전HPS지부, 한국발전기술지부, 한전산업개발발전지부)의 현장 간부 약 60명이 모여 1박 2일간 수련회를 열었다. 이들은 올해 진행될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대비해 발전노동자의 총고용 보장을 요구하며 공동파업을 결의했다.​2025년 12월부터 태안화력발전소 1호기 폐쇄를 시작으로 석탄화력발전소가 순차적으로 문을 닫기 시작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발전소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2,046명이 재배치되지 못하고 유휴인력으로 분류되면서 대규모 해고 사태가 예상되고 있다.​수련회에서 현장 간부들은 대정부 요구안과 원·하청 공동 요구안을 논의한 뒤 이를 확정하고, 올해 파업을 포함한 총력 투쟁 계획을 세웠다. 주요 요구안에는 ▲발전노동자 전원 ..

사회·경제 2025.01.21

현대제철, 포항 2공장 폐쇄 강행… 지역 경제·노동자 고용 불안 심화

​현대제철 포항 2공장 폐쇄 소식에 지역 경제와 노동자들의 고용 불안이 심화되면서, 지역 사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와 현대제철지회, 현대IMC지회는 15일 포항 1공장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제철 포항 2공장 폐쇄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지난 11월 13일, 현대제철 포항공장 공장장이 노사협의회를 요청한 후, 언론을 통해 포항 2공장 폐쇄 소식을 접했으나 공장장은 이를 전혀 알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현대제철이 포항공장 구조조정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나 가격 경쟁력 약화 때문이 아니라 위장 폐쇄라고 강조했다.​포항공장은 2000년 현대차그룹에 인수된 이후, 세계시장..

사회·경제 2024.11.16

티메프 사태로 소담스퀘어 역삼 폐쇄, 소상공인 지원사업에 차질 우려

최근 티메프 사태로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와 티메프의 협업이 중단되면서, 위메프와 중소기업유통센터가 진행하던 소상공인 디지털커머스 지원사업인 '소담스퀘어'의 한 지점이 폐쇄됐다. 중기부가 새로운 사업자를 찾지 못하면서 소상공인 지원에 장기적인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소담스퀘어는 중기부 산하 중기유통센터가 전문성을 갖춘 사업자를 선정하여 소상공인에게 디지털커머스 교육, 컨설팅, 라이브 방송 기획 및 촬영, 편집 등을 무료로 지원하는 공간이다. 전국에 총 9곳이 운영되고 있지만, 최근 위메프가 운영하던 소담스퀘어 역삼이 문을 닫았다.​11일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에 따르면, 위메프는 2020년 9월 소담스퀘어 역삼의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곳은 총 143평 규모로, 촬영 스튜디오와 편집..

사회·경제 2024.09.11

발전노동자와 함께하는 탈석탄 정책의 길 - 발전HPS 박규석 지부장 인터뷰

지난 4월, G7 정상회의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의 전면적인 폐쇄를 결정했다.  이러한 국제적 조류에 발맞추어 한국정부도 2036년까지 전국의 석탄화력발전소 28기를 폐쇄하기로 한 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응하고,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조치임에는 분명하나, 해당 발전소에서 근무하던 노동자들의 고용 불안정 문제를 동시에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발전소 폐쇄 정책의 직접적인 당사자 중 한 명인 발전HPS지부 박규석 지부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발전노동자의 현재 상황과 고민, 그리고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들어보았다.박규석 지부장은 "공공운수노조 발전HPS지부 소속으로, 현재 경남 하동화력발전소에서 터빈과 ..

사회·경제 2024.05.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