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영 위기 이마트, 불법 개인사찰 의혹… 정용진 회장 등 총수 일가는 100억대 보수

뉴스필드 2024. 6. 18. 15:40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마트 최대주주)

 

이마트 최대주주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창사 이래 첫 적자에도 약 37억원 챙겨

이마트가 지난해 창사 이래 첫 적자를 내고 최근 진행한 희망퇴직 프로그램에서 직원 개인정보를 이용해 희망퇴직을 강요하는 등 불법 사찰 의혹이 제기되면서, 2013년 이마트 직원 사찰 사건이 재연되고 있다.

상황이 이러한데 경영 위기 속 신세계그룹 사업의 두 축인 신세계와 이마트 가운데 이마트를 전담하고 있는 정용진 회장은 지난해 이마트로부터 급여 19억8200만원과 상여 17억1700만원 등 모두 36억9900만원을 챙겼다.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과 모친 이명희 총괄회장은 이마트 지분을 각각 18.56%(최대주주), 10%를 보유하고 있다.

18일 제보팀장 등에 따르면, 3주간의 희망퇴직 기간 동안 예상보다 적은 인원이 지원하자 이마트가 개인정보까지 활용해 직원들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를 시작해 희망퇴직을 강요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마트의 희망퇴직 프로그램은 지난 3월 25일 사내 공지를 통해 외부에 알려졌다. 대상은 근속 15년 이상(2009년 3월 1일 이전 입사) 관리직군이며, 신청 기간은 4월 12일까지다. 희망퇴직자에게는 법정 퇴직금 외에도 월 기본급의 40개월치에 해당하는 특별퇴직금과 생활지원금 2500만원, 직급별 1000만원~3000만원의 전직지원금이 지급된다.

신세계그룹 핵심인 이마트가 지난해 사상 첫 적자를 내면서 전사적인 차원에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 것은 창사 이후 처음이다. 이마트는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9조4722억 원, 영업손실 469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2022년보다 매출은 0.5% 늘었지만 적자로 돌아섰다. 2023년 순손실은 1875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보다 영업이익이 118.6%가 감소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이마트가 적자를 기록한 것은 2011년 신세계그룹에서 인적분할된 뒤 처음이다.

한채양 이마트 대표는 “수년간 이어진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무거운 마음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하게 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희망퇴직 프로그램이 자발적인 퇴사를 유도하는 것이 본래 목적이었으나, 조건이 미약해 많은 지원자가 나오지 않자 이마트는 희망퇴직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회사 자금 유용 여부를 조사하기 시작했다는 게 제보자의 설명이다.

법인카드 사용 내역, 교통비 사용, 각종 사내 지침 위반 등을 철저히 조사하면서, 이를 통해 직원들에게 퇴사를 종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이마트 감사실이 직원들의 개인 정보를 이용해 과도한 사찰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직원들이 원거리 발령 시 월 2회 대중교통비를 지원받고 있는데, 자가 차량을 이용한 경우에도 대중교통비 영수증을 청구한 사례를 문제 삼아 퇴사를 강요하고 있다고 제보자는 밝혔다.

제보자는 “허위 대중교통비 청구는 사내 지침 위반일 수 있지만, 징계 수준을 높여 희망퇴직을 제출한 직원들에게 희망퇴직금조차 지급하지 않으려는 의도가 명백해 보인다”고 주장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마트 감사실이 직원들의 개인 휴대폰 어플리케이션과 구글 타임라인을 확인하여 영수증 청구 시 위치를 대조하는 방식으로 조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직원들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이용한 것으로, 인권침해와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소지가 크다.

이마트의 이러한 행태는 경영진의 잘못된 판단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지마켓과 옥션 인수, 본사와 점포 매각, 본사 이전으로 인한 임대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이마트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자, 궁여지책으로 인사비 절감을 목표로 삼아 이러한 무리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이마트의 실적은 악화일로다. 2021년엔 3천억원을 웃도는 영업이익을 냈으나 이듬해 이익 규모(1357억원)가 반토막난 데 이어 지난해엔 460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창사 이후 첫 적자다. 자회사로 둔 신세계건설의 대규모 손실이 반영된 탓이지만 이 부분을 빼더라도 이마트의 이익 규모(별도 재무제표 기준)는 전년도에 견줘 20% 남짓 줄었다.

이마트의 구조조정은 예고된 수순이었다. 지난 3월 공시한 사업보고서를 보면 ‘저비용 구조를 통한 수익성 개선’을 강조하며 “업무 전반에 간소화 프로세스를 구축해 인력운영과 배치를 최적화하고, 비핵심 자산 효율화와 차입금 규모 관리를 통해 재무 건전성을 확보한다”란 내용이 담겨 있다.

앞으로 상황도 녹록지 않다. 이마트를 포함한 대형마트는 코로나19 대유행 사태를 겪으며, 쿠팡 등 이커머스에 시장 잠식을 당하면서 점포 수를 줄이고 인원 감축에 나서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 왔다. 이마트 역시 매장 수와 직원 수를 계속 줄여왔다. 지난 2019년 6월말 2만5천여명(점포 수 158개)에서 2022년 말 2만3천여명(157개), 지난해 말 2만2천여명(155개)으로 각각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정용진 회장 등 신세계그룹 경영진이 이마트의 위기 국면에서 스스로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장기간 실적 부진은 경영 실패에 비롯됐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미래의 기대가 반영되는 시가총액이 최근 들어 급격히 줄어드는 게 그 방증이다. 5년 전 3조원을 크게 웃돌았으나 현재는 2조원을 밑돈다.

게다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은 이마트에서 지난해 보수 약 37억원을 받았다. 2024년 3월 기준 이마트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정용진 회장은 지난해 이마트에서 보수 36억9900만원을 받았다. 정 회장에게 지급된 근로소득을 살펴보면 급여가 19억8200만원, 상여가 17억1700만원을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36억1500만원보다 2.3% 증가한 금액이다.

이에 대해 지난 3월 열린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은 정 회장이 이마트의 악화된 실적과 이로 인한 첫 전사적 희망퇴직 추진에도 불구하고 보수를 과도하게 받아가고 있다고 질책했다.

아울러 정 회장 모친 신세계그룹 이명희 총괄회장과 부친 정재은 명예회장의 지난해 보수는 각각 30억6500만원이다.

강희석 전 이마트 대표는 급여 16억3000만원, 상여 5억9100만원, 퇴직소득 17억400만원을 포함해 보수 39억2500만원을 지급받았다.

한편 2013년 1월에 민주통합당 장하나, 노웅래 의원의 폭로로 신세계그룹 이마트가 비노조 경영원칙에 따라 본사 직원과 협력업체 직원들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노동단체 가입 여부를 사찰하고, 노조 설립을 막기 위해 직원들을 성향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해 관리하며 노조 설립에 적극적인 직원의 경우에는 인사상 불이익을 주는 등 부당노동행위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민주노총과 시민사회단체들이 ‘이마트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이마트 정용진 대표이사(신세계그룹 부회장) 등 사측을 고소, 고발하여 검찰 수사가 진행됐다.

당시 검찰은 정용진 부회장에 대해서는 무혐의 처분하고 나머지 임직원 5명에 대해서는 기소하였으며, 재판결과 유죄가 인정됐다. 이에 당시 정 부회장과 허인철 이마트 대표가 기소 의견 대상에서 제외되어 논란이 일었다.

이와 관련해 이마트 측은 희망퇴직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의 직원 불법 사찰 의혹에 대해 해명을 거부했다.

https://newsfield.net/%EA%B2%BD%EC%98%81-%EC%9C%84%EA%B8%B0-%EC%9D%B4%EB%A7%88%ED%8A%B8-%EB%B6%88%EB%B2%95-%EA%B0%9C%EC%9D%B8%EC%82%AC%EC%B0%B0-%EC%9D%98%ED%98%B9-%EC%A0%95%EC%9A%A9%EC%A7%84-%ED%9A%8C%EC%9E%A5/

 

경영 위기 이마트, 불법 개인사찰 의혹… 정용진 회장 등 총수 일가는 100억대 보수

경영 위기 속 신세계그룹 사업의 두 축인 신세계와 이마트 가운데 이마트를 전담하고 있는 정용진 회장은 지난해 이마트로부터 급여 19억8200만원과 상여 17억1700만원 등 모두 36억9900만원을 챙겼

newsfield.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