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field.net/2024/02/20/27010/
의료 현장 혼란 심화: 전공의 집단 진료 중단으로 환자 피해 속출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 중단으로 의료 현장의 혼란이 심화되고 환자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newsfield.net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 중단으로 의료 현장의 혼란이 심화되고 환자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20일 전국 수련병원 대표자 100여 명은 5시간 동안 마라톤 회의를 이어갔지만, 회의가 끝난 후 전공의들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며 회의장을 떠났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회장은 "대의원들 확인을 거쳐 입장문을 올리겠다"고만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비상대책위원장 선출, 정부 및 의협과의 대화, 집단 행동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회의 결과는 대의원 확인 후 입장문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전국 100개 주요 수련병원 소속 전공의 55%인 6,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25%인 1,630명은 근무지를 이탈했다. '빅5' 병원 소속 전공의들은 19일 전원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부터 전면 진료 중단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수술 취소 및 연기 55%, 응급 시술 중단 25%, 검사 축소 20%, 입원 연기 및 취소 15%, 조기 퇴원 10%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암 환자의 수술 연기, 응급 심장 환자의 치료 지연, 뇌졸중 환자의 검사 축소, 심각 질환 환자의 조기 퇴원 등 심각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환자들은 치료 기회 상실, 건강 악화, 불안감 증가 등의 피해를 겪고 있으며, 의료 현장에서는 인력 부족, 업무 과중, 의료 분쟁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들의 집단 진료 중단 즉각 중단, 정부는 의대 증원 문제 해결 위한 필수의료·지역의료 살리기 협의체 조속히 마련, 병원은 의사 업무 타 직군 전가 및 원치 않는 연차휴가 강제 중단을 요구했다. 정부는 의대 증원 방침 유지하면서도 전공의들의 처우 개선 및 의료 시스템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는 우리 사회의 의료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낸다. 정부, 의료계, 그리고 국민 모두가 함께 노력하여 환자 중심의 의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 파업 이유: 의대 정원 확대 반대, 낮은 임금 개선 요구, 정부와 소통 부족, 환자 피해 심각 (0) | 2024.02.21 |
---|---|
2024 총선주거권연대 출범: 주거 불평등 심판과 주거권 투표 촉구 (0) | 2024.02.21 |
의료 대란, 현실이 되다: 전공의 집단 행동, 환자들 고통만 가중 (0) | 2024.02.20 |
113억 원 부정 수급 적발, 노무법인 개입으로 논란 심화 (0) | 2024.02.20 |
포스코그룹 노동조합연대, 대한적십자사 김철수 회장과 간담회 진행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