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 4

온실가스 58억 톤? 동해 시추 계획에 환경단체 반발

기후위기비상행동은 16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이 추진 중인 동해 석유·가스 시추 계획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지난 9일, 부산항에 입항한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는 이 계획의 핵심으로, 이르면 17일 동해로 출항해 시추 작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해당 계획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발표한 석유·가스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권경락 플랜1.5 활동가는 이날 “140억 배럴의 석유와 가스를 개발하면 58억 톤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된다”며 “이는 대한민국 연간 배출량의 9배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로, 윤석열 정부가 세계적 ‘기후악당’으로 낙인찍힐 수 있다”고 비판했다.​임준형 기독교환경운동연대 사무국장은 “기후위기 시대에 석유..

사회 2024.12.16

LG화학-대봉엘에스, 뷰티 시장에 새로운 바람 일으킨다

LG화학이 식물성 오일에서 유래한 친환경 원료를 통해 화장품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LG화학은 17일, 100% 바이오 기반의 3HP(3-Hydroxypropionic acid: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를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처음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3HP는 식물성 원료를 미생물 발효 공정을 통해 생산하는 친환경 바이오 원료로, 적용 분야와 확장성이 매우 다양하다. 전 세계적으로 3HP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용화된 사례는 아직 없다.​비임상 실험 결과, 3HP는 화장품 분야에서 여러 가지 효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며, LG화학은 최근 화장품 소재 및 원료 의약품 전문 기업인 대봉엘에스와 기능성 화장품 원료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

사회 2024.10.17

반지하 폭우 참사 2주기: 기후위기와 주거권 보장을 위한 시민들의 외침

2022년 8월, 서울 관악구와 동작구에서 발생한 반지하 주택 침수 사고로 일가족이 목숨을 잃은 '반지하 폭우 참사' 2주기를 맞아 시민단체들이 정부에 기후위기 대응 및 주거권 보장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빈곤사회연대와 홈리스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5일 서울시청 앞에서 "불평등이 재난이다. 기후재난과 주거불평등 심화시키는 개발 중단, 기후정의에 기반한 주거권 보장하라"고 주장했다.​기자회견에서는 반지하 폭우 참사가 극단적 기후 현상으로 나타나는 기후 위기가 취약한 사람들을 어떻게 위험에 빠뜨리는지를 지적하며, 정부와 서울시의 지난 2년간 대응이 실패했음을 강조했다. 이들은 "참사를 잊지 않겠다는 시민들의 다짐은 기후위기 시대, 모두의 안전할 권리를 보장하라는 준엄한 명령이었다"며,..

사회 2024.08.05

택시노동자 분신 이후 위법 적발에도 서울시 처벌 지연 논란

서울시, 택시 전액관리제 위반 적발에도 처분 미루며 택시임금모델 개발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택시임금모델 개발은 최저임금 무력화 위한 시도로 파악하고 강력규탄​서울시가 택시 전액관리제 위반을 적발하고도 처분을 지연하며 새로운 택시임금모델 개발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는 이를 최저임금 무력화 시도로 보고 강력히 규탄했다.​공공운수노조와 방영환열사대책위는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액관리제를 위반한 동훈그룹에 대한 처분을 미루고 제3의 임금모델 개발을 추진하는 서울시에 항의했다.​지난해 9월, 택시 완전월급제를 요구하며 방영환 열사가 분신 사망한 사건 이후, 고용노동부는 해성운수의 최저임금법 및 근로기준법 위반 등 5개 사항을 적발해 시정명령을 내렸다. 서울시도 해성운수의 모기..

사회 2024.06.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