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설노조 4

광주전남 건설노동자, 10년 만에 총파업 선언... "더 이상 물러설 곳 없다"

146억 원 임금 체불, 일당 삭감 시도에 분노 폭발​광주전남 건설노동자들이 10년 만에 총파업을 선언하며 거리로 나섰다. ​건설노조 광주전남건설지부는 3월 11일 광주광역시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의 비호 아래 불법 고용이 만연하고, 건설사들이 일방적으로 단체협약을 무력화하면서 노동자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총파업 돌입을 선포했다.​노조 측에 따르면, 지난해 단체협약 불이행으로 발생한 조합원 임금 체불액은 146억 원에 달한다. 법정 공휴일 유급 수당, 연차 수당, 토요일 연장근로 수당, 식비 등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았고, 일상적인 임금 체불과 도급 강요에 의한 불법적 임금 삭감도 빈번하게 발생했다.​"건설 경기 악화? 노동자만 희생 강요"​더욱이 건설사들은 기존 일당마저 삭감..

사회·경제 2025.03.20

"노동 탄압 중단" 화물연대·건설노조, 정부에 강력 항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와 전국건설노동조합은 7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앞에서 국토교통부와 공정거래위원회를 규탄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의 노동 탄압 중단을 촉구했다.​이날 집회에서 화물연대와 건설노조는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이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하고, 노동자들에게 강제노역을 강요하는 '노동 계엄령'과 같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이들은 2022년 안전운임제 총파업 당시 두 차례 발효된 업무개시명령이 헌법의 기본 원칙인 명확성 원칙, 직업의 자유 침해의 최소성, 강제노동 금지 등을 위반한다고 주장하며, 업무개시명령을 거부할 경우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화물운송자격증 박탈 및 유류보조금 환수 등의 조치가 취해진 것은 명백한 협..

사회·경제 2025.03.08

"노동자에게 계엄령을 철폐하라"…화물연대·건설노조, 전국 대행진 선포

화물연대와 건설노조가 4일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에 대한 계엄령을 철폐하라"며 전국 대행진을 선포했다. 이번 대행진은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에 대한 강력한 규탄과 노동기본권 쟁취를 위한 전국적인 연대의 장이 될 전망이다.​"이미 계엄 상태였다"…정부의 노동정책 규탄​화물연대와 건설노조는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이 사실상 계엄 상태와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부의 화물연대 업무개시명령과 건설노조 탄압을 '계엄령 1호'와 '계엄령 2호'로 규정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가 폐지되면서 화물노동자들이 초장시간 노동과 저운임 구조로 내몰렸고, 이는 도로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설노조 역시 "정부의 지속적인 노조 탄압으로 건설현장의 불법 하도급이 만연해지고..

사회·경제 2025.03.05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2주년, 건설현장은 안전해졌나?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2주년, 건설현장은 안전해졌나? 민주노총 건설노조, 국회토론회 개최 건설현장 노동자 82.6% “노조 탄압 이후 안전사고 위험 커져” 건설사 60.9% “미등록 이주노동자 선호” 민주노총 건설노조는 11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1세미나실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2주년을 맞아 ‘노조탄압이 건설현장 노동안전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국회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민주노총 건설노조,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두리공감, 일과사람 등 노동단체와 전문가들이 참석해 건설현장 노동안전보건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했다. 토론회 발제에 나선 민주노총 건설노조는 2023년 9월 기준 건설현장 착공면적은 5220만㎡로 2년 전 면적에 비해 40%에도 못 미치..

사회·경제 2024.01.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