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재 6

한화오션 노동자 사망 잇따라… 지회 "허술한 안전 시스템이 원인"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화오션에서 노동자가 연이어 사망하고 있다.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이하 지회)는 반복되는 죽음의 배경에 한화오션의 허술한 안전 시스템과 하청 산재 은폐 관행이 있다고 주장하며 전면적인 개선을 요구했다.​1일 지회에 따르면, 지난 2월 28일 밤 9시 50분경 한화오션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 오병옥 씨가 야간 작업 중 가슴 통증을 호소, 탈의실에서 휴식을 취했으나 상태가 악화되어 대우병원으로 이송됐다. ​하지만 하청업체는 사내 구급차(2119)를 이용하지 않고 회사 차량과 오토바이로 재해자를 이송했으며, 오 씨는 급성 심근경색 진단을 받고 심폐소생술을 받았으나 밤 11시 55분경 끝내 숨졌다.​지회는 "한화오션에서 2024년에만 중대재해 4건을 포함해 7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사회·경제 2025.03.02

쿠팡, 최근 3년간 언중위 제소 33건에 손배 4억원 청구

​2024년에만 19건 제소…대부분 노동자 사망 사고 관련 기사​쿠팡이 최근 3년간 언론중재위원회에 총 33건의 제소를 했으며, 손해배상 청구액은 4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한 해에만 제소 건수가 급증해 19건에 달하며, 대부분은 쿠팡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된 기사들이다.​16일 정혜경 의원(진보당)은 언론중재위원회를 통해 쿠팡이 지난 3년간 제소한 사건 처리 내역을 공개하며, 2022년 6건, 2023년 8건에 이어 2024년에는 19건이 제소됐다고 밝혔다. 특히 2023년에는 손해배상 청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한겨레와 뉴스타파 등 언론사를 대상으로 각각 5천만원에서 1억 5천만원까지 청구했다. ​그러나 이들 청구 건 중 손해배상 판결이 내려진 사례는 없었다.​쿠팡이 제소한 ..

사회·경제 2025.01.16

대우건설, 최근 5년 산재 2천 건 최다... 산재 급증 심각

국내 주요 건설사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대우건설, GS건설 등 대형 건설사의 산재 발생 건수가 늘어나면서 안전 관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의원(더불어민주당, 경남 김해갑)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LH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는 최근 5년(2020~2024) 동안 총 1,223명에 달하며, 이 중 16명이 사망하고 1,207명이 부상을 입었다.​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203명(사망 6명, 부상 197명), ▲2021년 294명(사망 2명, 부상 292명), ▲2022년 364명(사망 4명, 부상 360명), ▲2023년 269명(사망 2명, 부상 267명), ▲2024년 6월까지 93명(사망..

사회·경제 2024.10.24

금속노조, 산재 신청 증가에도 처리 지연 문제 해결 촉구

전국금속노동조합은 26일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재 처리 지연 문제에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 이들은 "산재 처리의 장기화는 2차 산재다. 노동부는 골병든 노동자를 더욱 힘들게 하는 산재 처리 지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3만 1천 666명의 노동자가 업무상 질병으로 산재 신청을 했으며, 평균 처리 기간은 214일에서 올해 235.9일로 증가했다. 특히, 근골격계 질환의 경우 평균 처리 기간이 146일에 달하고 있다. 근골격계 질환은 노동자들이 오랜 시간 동안 일하면서 겪는 대표적인 업무상 질병으로, 많은 노동자들이 이러한 질환으로 인해 산재 신청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노동부와 근로복지공단은 신청 건수의 급증이 처리 기간 증가의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사회·경제 2024.08.26

최근 5년 GS건설 산재 1915건으로 최다... 대우건설, 현대건설, 삼성물산 뒤이어

최근 5년간 LH와 민간건설사의 건설현장 산재가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의원(더불어민주당, 경남 김해갑)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8~2022년)간 LH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는 모두 1,268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26명, 부상자는 1,242명에 달했다. ​ 연도별 LH 건설현장 재해자수는 ▲2018년 188명(사망 10명, 부상 178명), ▲2019년 219명(사망 4명, 부상 215명), ▲2020년 203명(사망 6명, 부상 197명), ▲2021년 294명(사망 2명, 부상 292명), ▲2022년 364명(사망 4명, 부상 360명)으로, 최근 5년새 건설현장 재해자가 1.93배 급증했다...

사회·경제 2023.10.06

“요기요는 주 100시간 노동으로 산재사고 유발하는 신규프로모션 중단하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조 8일 오전 11시 요기요 본사(서초구 서초대로38길 12 마제스타시티 타워2) 앞에서 '주 100시간 노동으로 산재사고 유발하는 신규프로모션 중단' 요구를 전달하기 위한 기자회견을 연다고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신규프로모션 시작 이후, 노동조합이 우려였던 1주 90시간을 넘어서, 1주에 100시간 이상 근무하는 라이더들이 생기고 있다. 이 때문에 실현 불가능한 프로모션을 도전하다가, 수많은 라이더들이 산재에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이다. 2022년 배달노동자 사망사고가 이전보다 늘어났다. 배달노동자가 포함된 퀵서비스기사 노동자 사망이 39명으로, 2021년 18명과 비교하여 21명이나 늘었다. 산재사망망율이 두배 이상 늘어났다. 이마저도 산재 유족급여를 신청한 배달노동자만..

카테고리 없음 2023.03.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