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이 5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내란 공모’ 혐의를 재차 비판하며 사과와 사퇴를 요구했다.
박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한 전 총리가 자신의 혐의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이미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입은 비뚤어졌어도 말은 똑바로 하라”며 비판했다.
이어 “부득이한 탄핵 기각을 내란 공모에 대한 면죄부로 왜곡하지 말라”고 덧붙였다.
■ 헌재 판결과 수사 기록의 간극
박 대변인은 헌법재판소가 한 전 총리에 대해 구체적인 증거가 없다고 판단한 이유는, 검찰이 수사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관련 수사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사 자료가 존재하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한덕수 전 총리는 명백하게 내란 공모 여부를 수사받고 있는 피의자 신분”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박 대변인은 한 전 총리를 향해 “아직도 자신의 내란 혐의에 대해 ‘셀프 면죄부’를 내릴 수 있는 내란대행인 줄 알고 있느냐”며, “한 전 총리는 명백한 ‘내란 피의자’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 국민의 눈을 흐리는 '얕은 잔꾀'
박 대변인은 한 전 총리가 국민의 선택을 기다리는 예비 후보라는 점을 언급하며, “국민의 눈을 흐리려는 얕은 잔꾀는 금방 들통난다”고 경고했다.
끝으로, 박 대변인은 한 전 총리의 총리직 사임 담화문 내용을 인용하며, “한덕수가 더 큰 책임을 지는 길은, 실정으로 얼룩진 윤석열 정권의 총리로 또 내란대행으로의 과오를 국민께 사과드리고 대선의 장에서 물러나 조용히 재판을 준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무소속 대선 후보로 나선 한덕수 후보는 자신에 대한 ‘내란’ 혐의 수사와 관련해, “헌법재판소가 이미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고 발언했다.
■ 헌재 판결과 별개로 진행 중인 수사
한 후보의 ‘내란’ 혐의 관련 수사는 현재 진행 중인데도, 지난 3월 헌재가 한 후보 탄핵소추 사건을 기각하며 ‘12·3 비상계엄 사태에 적극 가담했다’고 판단할 구체적 증거가 없다고 했다는 점을 들어 문제 없다고 강변한 것이다.
한 후보는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이 끝난 직후, ‘일각에서 내란 공범 의혹을 아직 떨치지 못했다는 의견이 있다.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비상계엄 관련 수사가 이어질 텐데 이에 임할 거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답변했다.
그는 이 질문에 대해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비논리적인 말씀”이라며, “더불어민주당에서 헌재의 판결 뒤 헌재 결론을 존중한다고 얘기했다. 그 문제는 우리 언론이 다시 한번 헌재 판결문을 읽어보시라”고도 했다.
■ 검찰과 경찰의 피의자 조사
앞서 헌재는 지난 3월 24일 한 후보 탄핵사건을 기각하며, “이 사건 기록에 의하면, 피청구인이 비상계엄 선포의 절차적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국무회의 소집을 건의하는 등 적극적 행위를 했음을 인정할 만한 증거나 객관적 자료는 찾을 수 없다”고 한 바 있다.
다만 이 같은 판단은 헌재가 한 후보 수사기록을 확보 못 한 상태에서 나온 것이다.
헌재 선고 2주 전 검찰은 헌재의 한 후보 관련 수사기록 제출 요구를 ‘수사 중’이라는 이유로 거부한 바 있다.
■ 민주당, 한덕수 사퇴 압박
헌재 판단과 별개로 한 후보의 내란 가담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수사는 아직 진행 중이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지난 1월 한 후보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가 이뤄진 국무회의 전후 상황 등을 조사한 바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도 지난해 12월과 올해 2월, 두 차례에 걸쳐 한 후보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기도 했다.
한덕수, '내란 가담' 혐의 논란 재점화... 민주당, 사퇴 촉구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이 5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내란 공모’ 혐의를 재차 비판하며 사과와 사퇴를 요구했다.
newsfield.net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상고심 판결 후폭풍: 법조계 '대법원 정치적 중립성 상실' 비판, 조희대 사퇴 요구까지 (1) | 2025.05.07 |
---|---|
내란 혐의 윤석열, 구속 취소 후 한강공원 산책... 사법정의 논란 (0) | 2025.05.06 |
이재명 판결 파기환송 후폭풍, 전국 교수·연구자들 사법부 신뢰 위기 경고 (0) | 2025.05.03 |
김태효 NSC 차장 백악관 방문 파장: 조선업 협력 논의의 숨겨진 의도는? (2) | 2025.05.02 |
한덕수, 총리 사퇴 후 대선 출마 예상…민주당 '노욕' 맹비난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