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죽을 수 없다" 택배 노동자들, 휴식권 보장 및 과로사 방지 대책 촉구
동의 기간: 2025년 4월 10일 ~ 2025년 5월 10일
현재 동의 수: 1만 3750명 (4월 12일 기준)
CJ대한통운과 한진택배 등 국내 주요 택배사들이 잇따라 주 7일 배송 체제 도입을 확정하면서,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 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특히, 충분한 인력 충원이나 실질적인 대책 마련 없이 주 7일 배송이 강행될 경우, 이미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는 택배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택배 노동자의 절박한 외침, 주 7일 배송의 덫
국민청원 게시판에 '택배기사들의 휴식권 보장 및 과로사 방지 대책 촉구'라는 제목으로 청원을 올린 A씨는 자신을 택배기사라고 밝히며, "CJ대한통운과 한진택배 등 주요 택배사들이 주 7일 배송제를 시행하면서, 택배기사들의 과로와 휴식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노동 강도의 문제를 넘어 생명과 건강권을 위협하는 상황"이라고 절박하게 호소했다. 해당 청원은 2025년 4월 10일부터 2025년 5월 10일까지 진행되며, 4월 12일 현재 1만 3750명의 국민이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원인은 CJ대한통운의 주 7일 배송제 도입에도 추가 인력 충원이나 명확한 운영 대책이 부재한 상황에서, 한진택배마저 주 7일 배송을 시작하게 되면 집하와 배송을 겸하는 택배기사들은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2~3주에 한 번만 쉴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며, 이는 올해에도 과로로 목숨을 잃은 택배 노동자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더욱 악화시키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 대기업의 압박과 택배사의 책임 회피 논란
특히, 청원인은 "네이버, 11번가 등 대형 고객사의 압박으로 휴일 배송이 강제되고 있으며, 택배사는 이에 대한 피해 보상이나 대책 마련 없이 현장의 기사들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폭로하며, 대기업의 '갑질' 행태와 택배사들의 무책임한 태도를 강하게 질타했다. 더불어 CJ대한통운이 약속했던 '주 5일 근무제'가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추가 인력 투입 없이 기존 기사들에게만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타 택배사들의 주 7일제 도입은 이러한 불공정한 근무 환경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청원인은 택배 노동자들의 기본적인 휴식권 보장을 위해 주 6일 근무제 유지 및 최소 주 1~2일 휴식 보장, 주 7일 배송 유지를 위한 추가 인력 충원 및 합리적인 근무 분담, 대기업의 부당한 압박 방지 및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 사회적 공감대 확산, 정부와 기업의 책임 있는 자세 촉구
이번 청원은 CJ대한통운과 한진택배를 비롯한 택배 업계 전반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으로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 문제가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요 택배사들의 잇따른 주 7일 배송 강행은 노동 환경 악화에 대한 비판 여론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택배 노동자들의 절박한 외침에 정부와 해당 기업들이 어떤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 "더 이상 죽을 수 없다"는 택배 노동자들의 절규가 헛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CJ대한통운·한진택배 '주 7일 배송' 강행 논란, 택배 노동자 과로사 우려 증폭
국민청원 게시판에 '택배기사들의 휴식권 보장 및 과로사 방지 대책 촉구'라는 제목으로 청원을 올린 A씨는 자신을 택배기사라고 밝히며, "CJ대한통운과 한진택배 등 주요 택배사들이 주 7일 배
newsfield.net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금융그룹, 광운대와 손잡고 청년 창업 꿈 지원하는 ‘하나 소셜벤처 유니버시티’ 4기 시작 (0) | 2025.04.14 |
---|---|
하나금융그룹, ESG 공시 의무화 대비 ‘통합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0) | 2025.04.13 |
정부, 지방공공기관 조직정원 감축 지침 배포… 공공운수노조 “공공성 파괴” 강력 반발 (0) | 2025.04.11 |
HDC자산운용 성추행 의혹 수개월째 방치… '87% 오너 일가 지배' 속 정몽규 회장 책임론 압박 심화 (0) | 2025.04.11 |
하나은행, K-바둑 이끌어갈 어린이 영재 발굴 나선다 (3)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