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field.net/2024/02/29/27182/
대웅제약, 판매관리비 급증으로 리베이트 가능성 높아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29일, 제약회사 대웅제약의 판매관리비가 최근 5년간 40.9% 증가하며 리베이트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newsfield.net
5년간 40.9% 증가… 연구개발비보다 2.6배 많아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부당내부거래 해결 촉구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29일, 제약회사 대웅제약의 판매관리비가 최근 5년간 40.9% 증가하며 리베이트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판매관리비 급증
대웅제약의 판매관리비는 2018년 2,693억원에서 2022년 3,795억원으로 40.9% 증가했다. 이는 매출액 증가율(24.1%)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경상연구개발비는 44.8% 증가했지만, 금액적으로는 판매관리비의 절반 이하인 1,636억원에 그쳤다.
리베이트 의혹
특히 문제는 판매관리비 내 지급수수료가 99.4% 증가한 점이다. 지급수수료는 제약회사가 CSO(영업대행사)에게 지급하는 비용으로, 리베이트 자금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판매관리비 중 리베이트 유관항목 비용도 58.3% 증가하며 전체 판매관리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60.9%에 이르렀다. 이는 제조업의 판매관리비 평균(11%)보다 50% 이상 높은 수치다.
불법 리베이트의 위험
불법 리베이트는 의약품 가격 상승, 건보 재정 악화, 소비자 부담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대웅제약은 과거에도 불법 리베이트로 적발된 바 있으며, 현재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부당내부거래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건전한 기업으로 거듭나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대웅제약이 부당내부거래 문제를 해결하고, 건전한 기업지배구조를 구축하며, 신약 개발 등 생산적 방식의 수익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보건복지부의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에 반발 (0) | 2024.02.29 |
---|---|
삼성 노동자 1,801명 조사…“삼성이 나를 갉아먹고 있었다” (1) | 2024.02.29 |
삼부토건지부, KB부동산신탁 갑질로 건설 노동자 임금 체불 및 협력업체 파산 위기 초래 주장 (0) | 2024.02.28 |
민주노총, “간호사의 의사업무 수행 허용은 환자 생명 위협… 공공의료 확충해야” (0) | 2024.02.28 |
의료 붕괴 속 실종된 공공의료, 총선에서 찾을 수 있을까? (1)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