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현대차 신형그랜저 출시 1년도 안돼 리콜 2회 무상수리 19회

뉴스필드 2023. 10. 13. 11:44

https://newsfield.net/2023/10/13/25173/

 

현대차 신형그랜저 출시 1년도 안돼 리콜 2회 무상수리 19회

그랜저 GN7 차량은 지난 9월에만 9,359대(하이브리드 5,446대 포함)가 판매된 현대차의 베스트셀링 차량이다. 매달 평균 9,000대 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출시 후 지금까지 국산차 판매량 순위 상위권을

newsfield.net

전자장비 계열의 결함 및 문제 다수 포함

말로만 외치는 ‘품질경영’이 안 되도록 품질관리에 책임있게 나서야

그랜저 GN7 차량은 지난 9월에만 9,359대(하이브리드 5,446대 포함)가 판매된 현대차의 베스트셀링 차량이다. 매달 평균 9,000대 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출시 후 지금까지 국산차 판매량 순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에만 9만 대가 넘게 판매된 그랜저 GN7 차량의 품질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무상수리를 진행하며 사태 수습에 나섰지만 역부족인 모습이다. 출시된 지 1년이 되지 않은 차량에서 무상수리 19회, 리콜 2회에 달하는 사후 조치가 필요해지면서 소비자들 또한 고객을 ‘테스트 베드(성능·효과 시험)’로 삼는다며 품질에 대한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그랜저 GN7 차량의 초기품질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3월 20일 기준 해당 차량의 공식적인 결함은 시동 꺼짐 문제, 전동 트렁크 미작동 등 8건이었으나 현재는 리콜을 포함해 총 21건의 문제가 발견되어 조치 중에 있다. 아울러 지난 1월 그랜저 공식 동호회 ‘그랜저 GN7 오너스클럽’은 공식적 결함 이외에도 회원들의 결함 실태를 취합한 리스트를 공개한 바 있다.

특히 그랜저 GN7 차량의 경우 이전 세대 그랜저(그랜저 IG 페이스리프트) 대비 가격이 상승했지만 오히려 품질과 만족도는 오히려 역행하는 상황이다. 그랜저 2.5 가솔린 프리미엄은 이전 세대 그랜저 대비 324만 원이나 올랐고, 익스클루시브와 최상위 트림인 캘리그래피도 각각 349만 원, 373만 원 이상 값이 뛰었다. 이 외에 하이브리드 등 다른 파워트레인별 가격 차이도 평균 350만 원 정도 상승했다.

 

국내에서 출시된 이후 가장 많은 리콜과 무상수리된 자동차 모델은 기아 4세대 쏘렌토다. 쏘렌토는 2020년 3월부터 판매가 시작돼 6번의 리콜과 20번의 공개 무상수리를 진행하면서 3년 2개월 동안 26번의 수리를 진행한 바 있다. 그랜저의 결함이 계속 나온다면 출시 뒤 최다 수리 기록을 새로 쓸 여지도 충분하다. 무상수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그랜저 차량의 누적 수리 대수는 지난 7월 기준 30만 대를 넘어섰다.

출시된 지 1년도 되지 않은 차량에서 잦은 결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소비자들은 계속되는 차량 결함에 불안감과 피로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아울러 차량 결함은 탑승객, 보행자의 안전과 직결되기에 품질관리는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에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개선안을 촉구하고자 한다.

조사자료는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에 게시된 무상점검·수리 내역을 참고했다.

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 현대차 그랜저 GN7 출시 이후 현재까지 무상수리 19회 진행

- 그랜저 GN7의 경우 출시(2022년 11월 14일) 이후 19회 무상수리를 진행했다.

- 차량 출시 이후 현재까지 월 평균 약 1.6회의 무상수리가 진행된 셈이다.

- 세부내역은 엔진컨트롤시스템 3건, 차폭등 2건, 도어핸들 2건, 트렁크 2건, 기타 10건으로 나타났다.

- 무상수리 내역을 살펴보면 엠블럼 변색 가능성 등 경미한 문제점부터 중립 제어 구간 전기 부하 대응 데이터 강건화 미흡으로 정차 중 시동꺼짐이 발생해 소비자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도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 전방충돌방지보조(FCA) 기능 민감 작동 강건화 설계 미흡 이슈의 경우 저속 주행 시 급제동이 연달아 걸리는 영상이 연이어 공개되면서 차량 판매를 막아야한다는 비판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 특히 배터리 제어 시스템(BMS), 전자식 변속 시스템 제어기(SCU), 아웃사이드 도어핸들 터치센서 제어기 소프트웨어 로직 오류 등 소프트웨어 문제 발생이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 현대차 그랜저 GN7 출시 이후 현재까지 리콜 2회 진행

- 지난 3월 20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벌써 8번째 무상수리 신형 그랜저(GN7) 품질 논란 심각” 보도자료에 따르면 시동꺼짐(2.5GDI), 엔진 경고등 점등 조건 민감(3.5 LPI), BMS 오류(하이브리드)를 포함해 8건의 문제점이 그랜저 차량에 발견되었다.

- 보도자료 배포 이후 현재까지 13건의 문제점이 추가로 발견되어 시정조치가 진행 중이다.

- 13건의 추가 발생한 문제점 중 2건은 리콜이 진행되고 있다.

- 22년 10월 21일부터 23년 3월 28일까지 제작된 14,316(미판매 168대)대의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전자식 브레이크 소프트웨어의 설정 오류로 스마트크루즈컨트롤 기능 주행 중 오르막 경사로에서 앞 차량의 정차로 인한 차량 정차 시 후방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소비자 안전과 관련되어 있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 아울러 22년 11월 16일부터 23년 3월 2일까지 제작된 7,009대(미판매 464대)의 그랜저, 그랜저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차량 제어장치와 주차센서 간의 통신 불량으로 주차거리경고 기능이 미작동하고 이로 인해 후진 시 후방에 있는 물체와 충돌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이에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13일, 최근 신차 출시 이후 결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안했다.

첫째, 출시 이전에 품질시험 빈도 및 강도를 강화해야 한다.

최근 신차들은 빨라진 페이스리프트 및 풀체인지 주기를 가지고, 다양한 전자장치와 기능 등을 대거 탑재하고 나온다. 때문에 신차 출시 전 철저하고 충분한 테스트·품질관리는 필수다.

소비자시민회의는 "최근 그랜저 GN7 차량뿐만 아니라 다른 차종도 신차 출시 이후 결함이 지속적으로 발생해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신차는 1년 뒤에 구매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들리고 있다"며 "업계에서는 완성도의 문제보다는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선제적 리콜과 무상수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자칫 품질이 안 좋은 차라는 프레임이 씌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둘째,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시대 도래 전 차량 출고 전 엄격한 테스트를 진행해야 한다.

국토교통부 자동차 리콜 사이트 내 기재된 최근 10년간(2013년 1월∼2023년 7월) 리콜 및 무상 수리 공고에 따르면 사후 조치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한 차량은 올해 1∼7월 131만 9,712대로 전체 중 52.2%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조치 차량은 2019년(192만 799대)부터 100만 대를 넘기기 시작했고 2021년 273만 2,507대까지 급증했다.

소비자시민회의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차량을 구입한 소비자 입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결함(잔고장)이 반복되면 완성차 업체에 대한 불신감과 차량 수리에 따른 피로감이 들 수밖에 없다"며 "그랜저 GN7 또한 리콜·무상수리 내역 중 전자장비 계열의 결함 및 문제 다수 포함되어 있다.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도 중요하지만 차량 출고 전 엄격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문제 발생 시 빠른 사후 대처로 소비자가 안심하고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셋째, 소비자 선택권 보장을 위해 이후 출시될 신차들에 대한 결함을 명백하게 알릴 것.

소비자시민회의는 "이처럼 출시된 지 1년이 되지 않은 그랜저 GN7 차량에서 무상수리 19회, 리콜 2회에 달하는 다양한 사후 조치가 필요한 차량에 대한 관련 은폐 및 판매 행위는 표시광고법 제3조 제1항 제1, 2호 동법 시행령 제3조 제①~②위반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연속적인 결함 발생으로 사후 조치가 반복적으로 필요한 차량에 대해 사실을 숨기며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완성도가 높은 차량처럼 소비자들을 기만하는 과장된 표시·광고"라며 "소비자들에게 결함 등의 내용을 사전에 고지해 차량의 선택권을 주어야 함에도 이런 사실들을 숨긴 상태에서 사실과 다르게 과장되게 표시·광고하거나 성능과 기능 결함 발생 등에 대한 사실을 지나치게 축소하거나 부풀려 표시·광고해 구매 선택권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소비자시민회의는 "소비자 선택권 보장을 위해 이후 출시될 신차들에 대한 결함을 명백히 알리지 않을 경우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응형